날짜:
근육건강
단백질식단
홈트레이닝
K-푸드
ksansuya.com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갑작스러운 심정지(Cardiac Arrest)는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길을 걷다가 쓰러진 사람, 집에서 갑자기 의식을 잃은 가족 등 우리의 소중한 사람에게 위급 상황이 닥칠 수 있습니다. 심장이 멈추면 단 4분 안에 뇌 손상이 시작되고, 10분 이상 지속될 경우 사망에 이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이처럼 골든타임 4분을 지키는 것이 생명을 살리는 결정적인 요소입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심폐소생술(CPR)입니다. 심폐소생술은 전문 의료진이 도착하기 전까지 심장과 뇌에 혈액을 공급하여 소중한 생명을 지키는 기적과 같은 행위입니다. 이제부터 심폐소생술의 단계별 응급대처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심정지 환자는 다음과 같은 초기 증상을 보입니다.
의식 소실: 갑자기 쓰러지거나, 말을 걸어도 반응이 없습니다.
비정상적인 호흡: 숨을 쉬지 않거나, 헐떡거리는 등 비정상적인 호흡을 보입니다.
피부색 변화: 얼굴과 입술이 파랗게 변하는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맥박 없음: 목동맥(경동맥)을 만져도 맥박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보인다면 즉시 심정지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4분의 골든타임을 기억하여 지체 없이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야 합니다.
어깨 두드리기: 환자에게 다가가 "괜찮으세요?"라고 큰 소리로 물어보며 어깨를 가볍게 두드려 의식을 확인합니다.
주변 안전 확보: 주변에 위험 요소(교통사고, 전기 등)가 있는지 확인하고, 환자와 구조자의 안전을 먼저 확보합니다.
119 신고: 환자의 반응이 없다면 즉시 "거기 검은 옷 입은 분! 119에 신고 좀 해주세요!"라고 특정하여 도움을 요청합니다.
자동심장충격기(AED) 요청: "그리고 다른 분은 자동심장충격기(AED) 좀 가져와 주세요!"라고 외쳐 주변 사람에게 역할을 분담합니다.
호흡 확인: 환자의 가슴을 쳐다보며 숨을 쉬는지 확인합니다. 이때 10초 이내로 확인해야 합니다.
맥박 확인: 맥박을 찾기 어렵다면 억지로 확인하려 하지 말고, **'숨을 쉬지 않으면 맥박도 없다'**고 판단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위치 선정: 환자의 가슴 중앙, 즉 양쪽 젖꼭지를 잇는 선의 정중앙에 손바닥의 아래쪽(손꿈치)을 올려놓습니다.
자세: 양손을 깍지 껴서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합니다. 팔꿈치를 곧게 펴고 어깨와 팔을 수직으로 만들어 체중을 실어 압박합니다.
깊이와 속도: 성인 기준 약 5cm 깊이로,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압박합니다. 압박 후에는 가슴이 완전히 이완되도록 손을 떼지 않고 압력을 풀어줍니다.
기도 확보: 한 손으로 환자의 이마를 누르고, 다른 손으로 턱을 들어 올려 기도를 확보합니다.
호흡: 코를 막고 환자의 입에 자신의 입을 밀착시켜 1초 동안 숨을 불어넣습니다.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 확인하고, 10회 가슴 압박 후 2회 인공호흡을 반복합니다. (30:2 비율)
인공호흡 생략 가능: 인공호흡에 대한 거부감이 있거나, 방법을 잘 모른다면 가슴 압박만 계속해도 충분히 효과가 있습니다. 오히려 인공호흡을 하려다가 시간을 지체하는 것보다, 가슴 압박을 중단 없이 계속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심폐소생술은 다음의 경우 중단할 수 있습니다.
환자의 의식이 돌아오거나 정상적인 호흡을 할 때.
119 구급대원이 현장에 도착하여 인계를 할 때.
자동심장충격기(AED)가 도착하여 사용 준비가 끝났을 때.
구조자가 탈진하여 더 이상 심폐소생술을 할 수 없을 때.
자동심장충격기(AED)는 심정지 환자의 심장에 전기 충격을 가해 정상 리듬으로 되돌리는 장치입니다. 공공장소에 비치된 경우가 많으므로 사용법을 알아두면 큰 도움이 됩니다.
전원 켜기: AED 덮개를 열거나 전원 버튼을 눌러 기기를 켭니다. 이후 음성 안내에 따라 행동하면 됩니다.
패드 부착: 환자의 상의를 벗겨 맨 가슴에 패드를 부착합니다. 오른쪽 쇄골 아래와 왼쪽 옆구리에 부착합니다.
심장 리듬 분석: "환자에게서 떨어지세요!"라는 음성 안내가 나오면 아무도 환자에게 접촉하지 않도록 합니다. AED가 자동으로 환자의 심장 리듬을 분석합니다.
전기 충격: "전기 충격이 필요합니다"라는 안내가 나오면, 주변에 사람이 없는지 확인하고 '충격' 버튼을 누릅니다. 충격 후에는 다시 가슴 압박을 시작합니다.
심폐소생술은 어렵고 복잡한 기술이 아닙니다. 이 글에서 설명한 기본적인 단계와 요령만 알아도 위급한 상황에서 누군가의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을 통해 한 생명을 구하는 것은 헌혈처럼 아무런 대가 없이 베푸는 가장 숭고한 나눔입니다. 오늘 배운 지식을 잊지 말고,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스스로에게 용기를 주세요. 당신은 생명을 살리는 영웅이 될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 #CPR #AED사용법 #응급처치 #골든타임